<aside>
💡 ctrl+alt+t
를 누르면 한 번에 여닫기를 할 수 있습니다.
개인적으로 정리하고 있던 자료와 합치다 보니, 다소 내용이 많은 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.
그리고 화이트 모드로 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.
- 생성 모델을 처음 접함에 있어 필요한 확률, 통계적인 개념을 우선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.
- 이후 논문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봅니다.
- 추가적으로 평가 지표에 대해서 다룹니다.
해당 논문의 의견(Quantitative뿐만 아니라 Qualitative도 고려해야 한다) → 이미지 생성 모델의 평가 지표에 대해 다룬 논문인데, 의견이 흥미로워서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.
</aside>
<aside>
💡
< Contents >
</aside>
1. Probabilistic Perspective
들어가며
Basic Statistics
Maximum Likelihood Estimation(MLE)
Appendix: Maximun A Posterior(MAP)
Kullback-Leibler Divergence(KLD)
Jenson-Shannon Divergence(JSD)
Information & Entropy
Appendix: MSE with Probablitc Perspective — Regression
Wrap-up
2. Paper
1. Introduction
2. Related Work
3. Adverarial nets
4. Theoretical Results
5. Experiments
6. Adantages and disadvantages
7. Conclusion and future work
3. 참고자료
- 확률 및 통계 자료 → 기존 개인 자료
- 원문
- GAN 수식은 강의 자료와 아래의 나동빈님의 유트브 영상을 참고하여 깔끔하게 정리하였습니다.
- GAN관련 Timeline이 잘 작성되어 있습니다.
- 평가 지표 관련 참고자료
4. GAN Evaluation Metrics
<aside>
💡 해당 논문의 의견(Quantitative뿐만 아니라 Qualitative도 고려해야 한다)
[[후속 논문][2021] Pros and Cons of GAN Evaluation Measures: New Developments](https://dorae222.notion.site/2021-Pros-and-Cons-of-GAN-Evaluation-Measures-New-Developments-6ab74989dd374f64a87f775c1c97ef82)
- 기존에는 단순히 얼굴을 기준으로만 평가했으며, 다양한 케이스에 대한 평가 지표를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다.
- Quality and diversity에 대한 관점은 많지만, 차원(Generalization, fairness)부분에 대한 연구가 적다.
- Generalization 관점에서는 생성 모델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.
- Fairness 관점에서는 올바른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 다룰 수 있으며, 모델 배포로 인해 발생하는 잠재적 위험 요소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.
- Downstream Task마다 중요한 평가 요소가 다르다.
- 예를 들어, 이미지의 퀄리티가 중요한 반면 다른 상황에서는 Diversity가 확보되는 것이 중요하다.(두 관계는 Trade-off 관계입니다)
- 좋은 평가 지표란 모델의 순위를 매길 수 있는 측면도 있지만, 도메인(e.g. 의료 이미지) 별로 적절한 평가 지표가 유의미한 지이다.
- 생성 모델이 학습 데이터를 기억하는 정도는 여전히 명확하지 않습니다.
- 궁극적으로, 딥 페이크와 같은 사회적 이슈를 다루기 위한 평가 지표를 고려해야 합니다.
</aside>
5. 추가 사항
- 추가적으로 생성 모델은
VAE ,[GAN](<https://github.com/dongb5/GAN-Timeline>) ,[Diffusion](<https://github.com/kwonminki/One-sentence_Diffusion_summary>)
모델로 크게 3가지 추세로 나뉘며,
아래의 그림을 통해 해당 3가지 장단점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.
VAE, GAN, Diffusion
모델
- 제가 아는 선에서 최근 이슈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브리핑 드리자면,
- 올해 초
Diffusion
모델의 Sampling 속도를 보완한 논문도 추가적으로 나왔습니다.
GAN
도 후속 연구가 많으니, 토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!
- 결론: 이미지 생성 모델 중에서는 현재 Diffusion이 가장 좋다?